-
오픈소스 운영체제란 컴파일된 이진 형태가 아닌 소스 코드 형태로 받을 수 있는 운영체제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Linux는 가장 유명한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며 이와 반대로 Microsoft의 Windows 는 철저한 비공개 소스 방식의 운영체제이다. Apple의 Mac OS X 와 iOS 운영체제는 Darwin 오픈소스 커널과 비공개 소스를 혼합형 운영체제이다.
소스 코드로 부터 한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이진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이진코드를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을 통하여 소스코드를 얻어내는 작업은 만만치 않게 어려운 작업이다.
역사로 보면 컴퓨팅 초창기(1950년 대) 에는 많은 수의 소프트웨어가 오픈소스 형식이였다.
이후 컴퓨터나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인증된 컴퓨터나 돈을 지불한 사용자들만 사용할수 있는 제한방안을 적용하여 경쟁회사로부터 자신들의 소스 코드와 아이디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런 소프트웨어 사용을 제한하려는 행위에 반발로써 Richard Stallman 이라는 사람은 1983년에 무료 오픈소스 UNIX-호환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GNU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 프로젝트의 취지는 모든 소프트웨어는 무료여야하고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있다.
Linux
오픈소스 운영체제의 예로 GNU/Linux 가 있다. 누구나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수정하여 제출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했고 Linux에 관심이 있는 수천명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Linux 는 발전을 거듭했다.
결과적으로 GNU/Linux 운영체제는 수백 개의 고유한 배포판 또는 맞춤형 시스템을 양산하여 RedHat, SUSE, Fedora, Debian, Slackware, Ubuntu 등의 배포판들이 등장했다. 각각의 배포판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지니고 있는데 그중하나인 RedHat Enterprise Linux 는 대규모 상업용 사용에 초점을 맞춘 배포판인 것이다.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돈을 버는 방법은 여기에 있다.
예를들어 소프트웨어 지원 게약이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하드웨어를 판매함으로서 이익을 창출하는 경우가 있다.
BSD Unix
Linux 보다 오래되고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1978년에 AT&T에서 파생했다고 한다. 처음부터 오픈소스는 아니고 1994년에 오픈소스 버전을 발표했다.
Linux와 마찬가지로 freeBSD, NetBSD, OpenBSD, DragonflyBSD 등의 여러 배포판이 존재한다.
Mac OS X 의 핵심 커널 구성요소인 Darwin은 BSD UNIX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오픈소스화 되어있다고 한다.
Solaris
Sun Microsystems 사의 Unix 기반 사용 운영체제이다. 2005년에 대부분 프로젝트를 오픈소스화 하였지만 현재 Oracle사가 sun을 2009년에 사들임에 따라 불확실한 상황이다. 현재 2005년 당시의 소스 코드를 다운받아 소스 코드 브라우저로 볼 수는 있다.
학습 도구 오픈소스 시스템
무료 소프트웨어 운동이 존재함에 다라 수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만드는 활동을 한다.
http://freshmeat.net/ 이나 http://distrowatch.com/ 같은 사이트들에서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찾아볼 수 있다.
프로그램을 변경하고 테스트하거나 버그를 고치거나 운영체제의 컴파일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로그램을 공부 할 수 있다.
'운영체제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산 환경 (1) 2020.06.11 보호와 보안 그리고 커널 자료구조 (0) 2020.06.10 프로세스. 메모리. 저장장치. 관리 (0) 2020.06.08 운영체제 연산 (0) 2020.06.06 운영체제 구조 (0) 2020.06.05